본문 바로가기

영어문법

7-7. 전치사 - by 처음 전치사를 설명하면서 말씀드린 대로,전치사는 전부를 다 한 번에 다 정리하기에는 분량이 거의 무한대에 가깝습니다. 전치사에 관한 글만 이어나가기에는 아직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이 우선이라고 생각되어서, 전치사 by에 대한 설명을 끝으로 전치사에 대한 설명을 잠시 쉴까 합니다. 진짜 자주 쓰이는 전치사에 대해서는 거의 다 설명드린 듯 합니다. 이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먼저 매겨놓은 번호에 뒤이서 써 나가거나 심화 학습에서 다룰 생각입니다. 전치사 by는 그 쓰임과 해석이 진짜 다양합니다. A by B 라고 쓰면, A의 기준은 B라고 생각하시거나, A가 가능한 것은 B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수동태 문장을 만들 때 by 뒤에 행위의 주체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이 부분 때문입니다.그러나.. 더보기
7-6. 전치사 – of of는 쓰임이 많은 만큼 논란이 되는 이야기도 많은 전치사 입니다. 먼저 저는, of 를 그림 처럼 정리하고 싶습니다. 설명을 드리자면, A of B 라고 쓰면 A는 B에서 떨어져 나온 일부분이라는 거죠. 물론 기본적으로는 "B 의 A"라고 생각하는 게 무리는 아닙니다만, 저는 기본적으로 강의할 때, 전치사 of를 기준으로 앞뒤 명사는 하나의 의미로 보라고 합니다. 전치사 of는 설명할 것이 많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일반적으로 "A of B"는 "B의 A"로 하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니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단지 좀 특이하게 해석되는 of의 경우를 저 그림으로 설명하려고 합니다. 1. 수량 표현이 of를 끼고 앞에 나오는 경우 앞을 먼저 해석한다. 즉, a hundred of people 라고 하.. 더보기
7-5. 전치사 – to, for, toward(s), from 자, 서론 없이 바로 설명 들어 갑니다. 1. to 주어진 사진에서 맨 위에 있는 화살표는 to입니다. 목적지에 완전히 닿으면 to를 씁니다. I go to school. --> 학교에 도착을 할 꺼죠. I gave this book to her. --> 이 책은 그녀에게 닿았을 겁니다. (4형식 수여동사를 설명할 때 전치사 to와 전치사 for의 차이를 설명드렸던 것을 기억하시나요?동작이 닿으면 to, 닿지는 않았지만 결국 그 쪽을 향하는(목표로 두는) 게 맞다면 for를 쓴다고 설명드렸습니다.그거 기억하시면 쉬울 듯 합니다.) to는 아주 기초적인 전치사 입니다. 아주 원초적으로, 앞의 말과 뒤에 이어지는 말을 이어 붙이기 위해서 많이 쓰입니다. 2. for 그 아래에 있는 두 번째 화살표는 for입.. 더보기
7-3. 7-4.전치사 – at, on, in (원래 7-3번과 7-4번으로 나누었던 설명을 하나로 이어붙여서 글 번호 표시를 저렇게 안내합니다.) 이번에는 장소(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먼저, 아직도 at은 좁은 장소, in은 넓은 장소 라고 설명하는 책 있으면 얼른 버리세요. 그럼, 제 방이 넓은 in my room, 좁으면 at my room이게요? 요즘 나온 책은 최소한 at은 한 점과 같은 위치 표시, in은 공간을 나타내는 위치 표시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별표를 버스 정류장이라고 생각해 주세요. 그리고 Roy's 빌딩이 있습니다. 물론 점선으로 표신된 부분은 도로 혹은 길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제가 건물안에 있으면 당연히 in the building입니다. 버스 정류장에 있으면 at the bus stop이구.. 더보기
7-2. 전치사 – on, over, above, beneath, under, below, up, down 이번 글에서는 제가 앞에서 설명드린 부분을 실제적으로 증명해 드릴 생각입니다. 또한 저는 그림 하나로 전치사 8개 한꺼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일단 사진을 봐 주시고, 사진 가운데에 가로로 쭉 그어진 선을 테이블을 옆에서 본 것이라고 생각해 주세요. 저걸 테이블이라고 생각하고 주황색 공 두 개의 위치를 어떻게 설명할까요? 웃고 있는 저 그림 두 개는요? 나머지들은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편의상 각각의 위치 표시에 번호를 넣어서 다시 한 번 붙이겠습니다. 1번은 on 입니다. 어디 위에 있기는 한데, 딱 붙어서 위에 있는 경우죠. on the table 2번은 over입니다. 어디 위에 있기는 한데, 공중에 떠 있는 상황이죠. over the table 3번은 above입니다. 위에 있는 건 맞는데 한.. 더보기
7-1. 전치사 – 전치사란 무엇인가? 직독직해하면 문법은 공부할 필요 없다고 확신하시는 분들, 영어로 된 문장보면 무조건 문법으로 따지려고 덤비시는 분들은, 이 글을 읽을 경우 유체이탈을 경험할 수도 있으니 구독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7번 시리즈는 전치사 이야기를 좀 할 생각입니다. 본격적인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생각해 볼 것이 있습니다. 영어 문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주어, 동사, 목적어, 전치사, 접속사 등등 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틀렸습니다. 그냥 영어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면 영어 문장입니다. 단어, 단어, 단어, 단어, 단어, 단어, 단어 ==> 이게 문장입니다. 단, 저 단어들을 어떻게 연결시켜 생각할 것인가가 문제인 거죠. 지금까지 문장의 구조를 살펴본 이유가 저겁니다. 기본으로 단어들의 나열을 S + V.. 더보기
6-3. 분사 구문 분사 구문은 처음에 영어를 공부하시는 분들이 꽤 어려워 하는 부분중에 하나죠. 먼저 기본적인 배경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분사 구문은 2개의 문장을 연결할 때 쓰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두 문장을 연결할 때 접속사가 필요하다는 부분을 먼저 이해하고 계셔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단문 그러니까 주어 동사가 한 번씩 나와서 하나의 문장을 구성하는 부분들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가 끝나면 말과 말을 이어주는 연결사 즉, 전치사와 접속사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지요. 원래 글을 쓰는 순서또한 전치사에 대한 정리나, 명사상당어구에 대한 정리를 먼저 할까 하다가, 분사에 대한 이해가 우선일 것 같아, 6-1번 부터 6-5번까지는 분사를 정리했으나, 이제부터느 정리하는 분사 구문은 접속사에 대한 공부가 어느.. 더보기
6-3. 분사의 정리 – The + 분사, 의사 분사, 자동사의 분사, 분사형 전치사 분사에 대한 실제적인 정리는 이번 글이 마지막입니다. 다음 글에서 이어지는 분사구문은 이름이 같은 거지 실제적으로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기술이에요. 분사와 관계된 몇 가지만 정리하고자 합니다. 1. the + 분사 분사는 형용사랑 같은 쓰임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The + 형용사 = ~~한 사람들 ==> 이런 공식 기억하시나요? 분사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 the wounded ==> 부상자들 the unknown ==> 알려지지 않은 것들, 미지의 것들 중요한 건 the + 형용사(혹은 분사)는 꼭 ~한 사람들이라는 의미는 아니구요, 경우에 따라서 사람이 아닌 물건(things)같은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꼭 복수명사가 아니라 단수 명사(사람 한 명, 한 개)의 뜻으로 되기도 합니다. 그걸 .. 더보기
6-2. 분사의 정리 – 감정동사의 분사 아직도 사람은 p.p로 분사를 쓰고, 사물한테는 ~ing를 분사로 쓴다고 가르치시는 분들부터, 그렇게 배운 학생들은 이 글을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저건 헛소리니까요. You are interested in music. 넌 음악에 관심있어 You are interesting person. 넌 재미있는 사람이구나. ==> 둘 다 되자나요. 일단, 배운 걸 다시 정리해 볼께요. 1. 분사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를 형용사처럼 바꾼 말이다. (즉, 명사를 꾸며주는 동작이다.) 2. 따라서 분사는 일단 그걸 꾸며주는 명사를 찾아서 하나로 합쳐서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명사가 그 동작을 능동적으로 하면 ~ing, 그걸 당하는 경우 p.p형태로 쓴다 3. 주의, 영어는 후치 수식을 자주 쓰는 언어이므로 수식.. 더보기
5-7. 완료진행형 – 완료진행형 정리 처음 5번 시리즈를 시작할 때 보여드린 표 기억하시는지요? 시제에 대한 설명 중에 이제 마지막입니다. 영어는 기간에 대한 표현을 동사에 담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게 완료 시제라는 개념이지요. 그런데 완료 시제 중에서도 정말 특정한 기간동안 특정한 동작을 계속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지요. 1)I have studied English for 10 years. 2)I have been studying English for 3 hours. 1번과 2번 문장이 무슨 차이일까요? 1번 문장은 10년이라는 시간동안 밥도 먹고 잠도 자고, 이거 저거 다 하는 와중에도 영어 공부를 계속해 왔다는 의미지만 2번 문장은 정말 책 펴놓고 공부하는 바로 그 동작을 세 시간동안 했다는 의미입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