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문법

11-5. 가정법 – 가정법 미래 이제는 앞에서 나온 이야기를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정하는 상황이 현재 혹은 미래에 충분히 일어날 만하다면? 가정법 현재를 씁니다. 가정하는 상황이 현재 일어나기 힘든 상황이라면?가정법 과거를 씁니다.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가정하고 싶으면?가정법 과거 완료를 씁니다. 마지막으로 남은 것이 미래에 대한 가정을 하는데, 일어나기 힘든 상황을 가정하는 부분입니다.이 때 가정법 미래를 사용합니다. 여기까지가 간략한 정리입니다.혹시 가정법 미래에 관한 내용만 궁금하다고 이 포스트만 구독하지 마시길 바랍니다.전체적인 맥락을 위해서는 가정법 부분은 처음부터 읽어 내려오시기를 권장합니다.그렇지 않은 경우 혼란만 가중될 수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설명했듯이 가정법은 .. 더보기
11-4. 가정법 – 가정법 과거 완료 꼭 당부 드립니다.11번 가정법 시리즈는 5-1과 5-2에서 tense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시고,11-1, 11-2, 11-3순서대로 전부 이해하시고 넘어오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읽으나 마나 입니다. --------------- 보통 무언가를 가정한다는 것은, 현재 혹은 가까운 미래를 가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거기에 더해져서 충분히 일어날만한 일이냐 아니냐에 따라 영어는 가정법 현재와 가정법 과거라는 형태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말을 하다 보면 결국 과거에 상황에 대한 가정해 해 볼 수 있게 되지요. 그러나 과거 상황을 좀 가정해 보려고 하다 보니이미 if절에서 과거를 쓰는 방법은 써 버렸습니다. 해결책은 간단합니다.과거보다 tense를 한 단계 더 떨어 뜨리는 거죠.영어는 소위 대과.. 더보기
11-3. 가정법 – 가정법 과거 이제부터 드리는 설명은 앞에 쓴 글을 먼저 읽어 보시고 오셔야 합니다. 적어도 5-1, 11-1, 11-2는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오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읽으나 마나 입니다. 특히나 제가 이렇게 설명 드리니까 그냥 안 보고 다른 곳으로 가 버리는 경우도 있는데, 진짜 솔직히 말씀드리지만 설명이 간략하면 수박 겉핥기 식의 공부밖에 되지 않습니다. 굳이 시험 준비 때문에 급하시다면 진짜 그냥 다 외워 버리시는 거 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을 겁니다. 전 이런 선택을 하는 것을 비난하려고 이러는 게 아닙니다.단지 제 블로그의 방향과는 다르다는 것 뿐입니다. 저는 천천히 확실하게 이해하실 욕심이 있는 분들을 위해 포스팅하고 있으며, 따라서 가정법은 글 번호 순서대로 이해하면서 넘어오시길 바란다는 겁니다. ----.. 더보기
11-2. 가정법 – 가정법 현재 항상 강조합니다.문법은 필요 없다, 혹은 끊어읽기만이 살길이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5형식 문법 체계에 빠져서 절대 그것만으로 모든 걸 설명하시려는 분들,수학 공식처럼 잘 정리된 규칙, 비법을 찾아 헤매시는 분들은이 글을 읽으실 경우 정신 착란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구독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11-1에서 설명하는 tense에 대한 이해를 하고 나서, 지금의 글을 읽어 주시기 꼭 부탁 드립니다. 가정법 현재라고 하는 것은 if절에서 동사가 현재 시제를 사용하면 가정법 현재라고 부릅니다. 가정할 때 현재 시제를 쓴다는 것은 그럼 어떤 의미일까요?진짜로 일어나면, 혹은 실제로 일어나는 것처럼 가정하겠다는 겁니다. 따라서,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현재 혹은 미래에 일어날 .. 더보기
11-1. 가정법 – 무조건 tense부터 이해하세요. 쓰잘데기 없이 영어 문장 볼 때마다 규칙, 법칙 남발하시는 분들, 반대로 문법 공부하는 거에 쓰잘데기 없이 반발 심리 가지시는 분들은,이 글을 읽을 경우 극심한 정신적 충격을 겪을 수 있으니 구독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꿈에 귀신 나올지도 몰라요) --------- 가정법은 실제로 시제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시제를 어떻게 표시했느냐에 따라 가정하는 상황이 달라지는 거죠. 가장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것은 tense입니다.다시 쓰는 영문법 5-1을 꼭 읽어 보시고 이 글을 이어나가시기 바랍니다.(절대 그냥 읽으시면 안 됩니다.) tense에 대한 이해가 없이 시제를 논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따라서 가정법을 tense에 대한 이해 없이 살펴볼 수 없습니다. 1. 시제 + 가정법, 이 두가지가 어려운.. 더보기
10-2. 동명사 – 동명사와 현재 분사의 구분 중학교 시험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부분입니다. 동사에다가 ~ing를 붙였을 때, 그걸 동명사로 볼 꺼냐, 분사로 봐야 하느냐? 사실 의미만 파악하면 되는 부분인데,대부분은 저걸 규칙으로 설명해 달라고 하니까 애매한 부분이지요. Dancing girl.Dancing room. 다들 아시겠지만dancing girl은 춤추고 있는 여자 입니다.dancing room은 춤 추기 위한 방(무도장) 정도 되지요. 일반적으로는 용도를 나타내는 말이면 동명사, 그게 아니면 분사로 봐야 한다고 하는데,틀린 설명은 아닙니다만, 언급한 대로 규칙으로 전부를 가져가려고 하면 힘듭니다. -----------전치사 설명할 때 혹시 기억나세요? 영어 문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다고 했었나요? 단어, 단어, 단어, 단어, 단어, ---.. 더보기
10-1. 동명사 – 동명사와 to부정사는 실제로 같은 문법이지만..... 10번 시리즈는 동명사에 관해서 살펴 볼까 합니다. 앞서 설명드린 대로 to 부정사를 명사처럼 사용하는 방법과 동명사는 같은 문법입니다. 문장 속에서 위치가 같고(명사상당어구에 해당합니다.) 비슷하게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문장 속에서 명사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 의미가 동작을 지니고 있는 거죠. 동명사가 타나나게 된 배경은 9번 시리즈에서 설명했습니다. 또한 동명사는 to부정사가 전치사 뒤에서 쓸 수 없다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동명사의 형용사적 용법이나 부사적 용법은 없습니다. 이거 때문에 중2 교과서에서는 전치사 뒤에 동명사가 붙는다는 한 가지만 문법 사항에서 다루고 실제 시험 문제에서 묻기도 합니다.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발생에서 설명 드렸듯이 굳이 to 부.. 더보기
9-5. to 부정사 – 전치사 to가 들어가는 표현은 필수 암기 사항입니다. 이번에는 몇 가지 어휘부터 제시하고 시작하겠습니다. object to ~~ : ~~에 반대하다(object는 반대하다 라는 뜻의 자동사입니다.)(뒤에 붙는 to는 전치사입니다.) look forward to ~~ : ~~을 학수고대하다 contribute to ~~ : ~~에 공헌하다 be related to ~~ : ~~에 연관되다. 저 어휘들을 손에 꼭 쥐고 다음을 영작해 볼까요? 우리가 기다리는 정답 발표 시간!! 1. 1) I object to this marriage.2) I object to go there. 2. 1) They are looking forward to the festival.2) She is looking forward to meet him. 3. 1) He contribut.. 더보기
9-4. to 부정사 – 명사적 용법(가끔 형용사가 명사처럼 쓰일 수도 있습니다.) 글 제목 그대로 입니다. 가끔 형용사가 명사처럼 쓰일 때가 있습니다. 중학교 때 많이 배웠죠.the + 형용사 = ~~한 사람들. 꼭 이것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chemical은 화학의, 화학적인, 이라는 뜻의 형용사이지만, chemicals라고 쓰면 화학 물질 즉 명사가 됩니다. local은 "지방의, 토속적인" 이라는 뜻의 형용사이지만 locals라고 쓰면 지역 주민을 뜻합니다.출발은 형용사 였으나 명사의 뜻을 갖게 되는 거죠. white는 흰색의, 흰 ~~~ 이런 뜻이지만 그냥 명사 자리에 던져 버리면 "흰 것 "이라는 명사가 됩니다.(물론 사람한테 대고 쓰면 백인이 되겠지요) 한국말도 마찬가지에요. 저기 검은 거 있자나. 저기 저 노란 거 가져와 봐.둥그런 거 말고 네모난 거 뭐냐? 뭐 이런 식.. 더보기
9-3. to 부정사 – 형용사적, 부사적용법 구별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to부정사는 무조건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으로 구별해야 한다거나, 전부 다 구별이 가능해야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 글을 읽을 경우 정신 착란증 공황 장애, 위경련을 비롯한 정신적 후유증이 예상되니 구독에 주의하세요. 이전 글에서 썼던 사진부터 한 번 더 가져오겠습니다. 일단 영어로 만들어 보겠습니다.1. This book is easy to read.2. I need some money to repair my car.3. She found a chair to sit on.4. This sentence is hard to translate. 저 4개의 문장을 to부정사의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으로 구분해 볼까요? 1번은 뭘까요? 이건 논란의 여지 없이 앞의 형용사를 꾸미는 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