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명사와 한정사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의미 덩어리를 만듭니다.
따라서 따로 떨어뜨려서 이해하거나 정리하거나 법칙을 만들기 힘듭니다.
단지, 편의상 명사쪽에 초점을 두고 이해하거나 관사 쪽에 초점을 두고 이해를 하는 것 뿐입니다.
한정사 중에서 대표적으로 나오는 것이 관사입니다.
관사는 다시 부정관사(a/an)와 정관사(the)로 나뉘어 집니다.
기본적으로 어떤 그런 거 한 개, 정도의 의미를 지닙니다.
a 라는 한 글자가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셀 수 있는 가산 명사는 문장 속에서 단어만 단독으로 쓸 수 없고,
관사 a/an을 붙여서 단수임을 나타내거나 복수형으로 쓰여야 합니다.
이걸 왜냐고 되묻지 말아 주세요.
==>지난 글을 통해서 언어의 추상화 그리고 한정사의 개념, 그리고 그것이 필수인 이유 다 설명 드렸습니다.
단어의 첫 글자가 우리말의 자음에 해당하는 글자인 경우 a,
모음인 경우 an을 씁니다.
(발음상의 이유 때문에 이렇게 만들어진 겁니다.)
주의할 것은 스펠링이 모음이 아니고 발음을 기준으로 결정합니다.
a hour (X) ==> an hour(O) ; h는 묵음이라서 발음상 an입니다
an university(X) ==> a university(O)
; 영어에서 발음기호 ju는 우리말로 반자음이라고 해서 자음처럼 취급합니다.
uniform도 마찬가지로 an uniform이 아니라 a uniform이라고 합니다.
저런 걸 왜 부정관사라고 하느냐?
그 종류에 해당하는 많은 것들 중에 하나 라는 뜻입니다.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그 어떤 거 하나, 단 그 종류에 해당하기는 하는 거고
뭐 이런 의미를 가진 것이 부정관사 입니다.
의미 자체가 저렇게 되니까
불가산 명사(추상 명사, 물질 명사, 고유 명사)에는 붙힐 수가 없게 되죠.
부정관사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세요.
불가산 명사 앞에는 붙을 수가 없습니다.
거꾸로 하면, (12-4에서 설명 드렸듯이)
불가산 명사인데 a를 붙이는 순간 의미하는 바가 달라집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미 다 한 겁니다.)
그 이외에 a/an은 ~~마다(per) 라는 뜻이 될 수 있습니다.
I take a shower two times a day. 난 하루에 두 번 샤워해.
이 외에 종족 대표를 나타낼 때도 쓸 수 있다고 하는데,
사례 안 들어 버릴 생각입니다.ㅋㅋㅋ
(독해 하다 보면 보여요..ㅋㅋㅋㅋ)
"같은"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고도 합니다.
They are of an age. (우리는 같은 나이다.)
제가 문법을 쓰면서도 모든 경우를 수를 여기다가 다 설명하지 않는 이유는 두 가지 입니다.
1. 다 정리해 봐야 까먹습니다.
; 문법은 큰 흐름만 빠르게 정리하고 디테일한 문법사항은 독해를 통해서 알아가는 것이
전체적인 영어 실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됩니다.
짜잘한 주변 사항은 지금 문법에서 정리해 봐야 어차피 다 기억 못 합니다.
실제로 영어 공부를 할 때, 문법부터 시작하는 것보다는 진짜 아무 생각없이 듣고 따라하고 읽고 따라하고
이걸 어느 정도 반복하면서 문법을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때가 있습니다.
큰 흐름을 익히는 거죠.
2. 문법을 우선시하는 버릇이 생깁니다.
죄송하지만 이건 아마 사람마다 견해가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이 글을 이어 나가는 저는 영어도 언어로써 이해해야 하고,
그 첫 단계는 어디까지나 문장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고,
문법을 통해 디테일한 부분을 점검한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문법을 정리하고 구구절절이 전부 정리하지는 않습니다.
영어 문장을 뜻도 모르면서 문법 용어나 문법적인 법칙부터 들이대려고 하게 되거든요.
전 이런 식의 영어 공부에 반대합니다.
큰 흐름만 익히시고 나머지는 글이 주는 그 문장이 주는 뜻에 같이 흘러가야 합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8. 명사와 한정사(관사) – 무관사 표현 및 기타 (0) | 2017.02.23 |
---|---|
12-7. 명사와 한정사(관사) – 정관사 the의 쓰임 (0) | 2017.02.23 |
12-5. 명사와 한정사(관사) – 가산 명사의 불가산 명사화 (0) | 2017.02.23 |
12-4. 명사와 한정사(관사) – 불가산 명사의 가산 명사화 (0) | 2017.02.23 |
12-3. 명사와 한정사(관사) – 명사의 종류 및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