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는 불가산 명사인 추상명사, 물질 명사, 고유 명사가
가산 명사인 일반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반대의 경우를 살펴볼까 합니다.
father를 앞에 the를 붙여서 사용하면 부성애를 뜻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the mother라고 쓰면 모성애가 되지요.
계속 말씀드리지만 이런 걸 규칙으로 가져가려고 하면 힘들어요.
제가 이 영문법 설명을 시작하면서 드렸던 말을 다시 한 번 상기 시켜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단어는? 문장을 통해서 완성된다.
실제 문장 속에서 쓰인 그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시는 게 우선입니다.
문장 속에서
the pen은 지성
the head는 이성
the sword가 폭력 혹은 무력이라는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이건 영어에만 해당하는 게 아니죠.
한국어에서도 이런 식의 표현은 나옵니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다.
이런 건 단순하게 단어로 이해하는 것도 아니고,
그 단어 속에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죠.
그리고 그게 글을 이해하는 거구요.
단어 몇 가지 더 설명드릴께요.
hair(털, 머리털)는 가산 명사일까요? 불가산 명사일까요?
기본적으로 머리털 혹은 몸에 난 털을 센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기본적으로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합니다만
He didn't shake a hair. (그는 털끗하나 흔들림이 없었다.)
=> 가산 명사처럼 사용해서 이런 식의 표현이 가능합니다.
room은 방이지만, 방은 한 개, 두 개 셀 수 있죠.
그래서 a room이 되던지, the room이 되던지 rooms가 되던지 입니다.
일반 명사는 셀 수 있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이건 수학적인 규칙이 아니고 사회적인 약속이다.
그런데 room의 모양을 생각해 보세요.
그래서 room을 관사 없이 쓰면, 공간, 여지, 여분, 여유 이런 뜻이 됩니다.
room을 관사 없이 써서 저런 의미로 나타내는 것은 이미 토익에서도 수능 영어에서도 공개된 단어입니다.
결과적으로 일반명사(가산 명사)를 불가산명사(물질 명사) 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 선 글에서도 밝혀 드렸습니다만,
명사는 가산 명사 불가산 명사가 결정된 것이 아니고
어떤 형태로 쓰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겁니다.
그래서 관사의 사용은 그렇게 막 무시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재미있게도 관사를 설명하려면 명사에 대한 정확히는 언어의 추상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구요.
부가적으로 처음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은,
가산 명사인 거 같은 데 불가산 명사인 단어들은 암기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문장을 접할 때,
"이거 내가 분명히 불가산이라고 외웠는데 가산 명사인 것처럼 썻네?"
==? 이거 틀렸어 혹은 이래서 문법은 배울 필요가 없는 거야
이런 식으로 생각하고 결론 내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일단은 암기해서 어느 정도 명사를 보는 눈을 기르시고,
가산명사를 불가산 명사처럼 쓰거나 반대로 불가산 명사를 가산 명사처럼 쓰는
어떤 단어의 활용과 의미의 확장에 대해서 배워 간다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지난 시간에 포스팅이 많이 길어서 이번에는 짧게 끝내려고 하다가 말이 좀 길어진 느낌이 있네요.
(사실 사례로 들만한 것도 많지는 않았으나 ㅋㅋㅋㅋ)
다음 시간부터는 관사에 대해서 조금 더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7. 명사와 한정사(관사) – 정관사 the의 쓰임 (0) | 2017.02.23 |
---|---|
12-6. 명사와 한정사(관사) - 부정관사 a/an의 쓰임 (0) | 2017.02.23 |
12-4. 명사와 한정사(관사) – 불가산 명사의 가산 명사화 (0) | 2017.02.23 |
12-3. 명사와 한정사(관사) – 명사의 종류 및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0) | 2017.02.23 |
12-2. 명사와 한정사(관사) – 한정사의 개념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