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멘트 한 번 날려 봅니다.
모든 영어 문장을 해석도 안 하고 문법분석부터 하시는 분들은,
이 글을 읽을 경우 공황장애, 정신 착란증 기타 정신적 후유증을 겪을 수 있으니
구독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여러분 부정대명사가 뭔가요?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앞에 나온 그 무언가에 해당하는 것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이게 뭐여 이게............ㅋㅋㅋㅋ
예를 들면 이런 거죠.
저기 책꽂이에서 아무거나 한 권만 가져 오렴.
책꽂이에 있는 책을 특정해서 콕 짚어서 말하지는 않았지만,
그 책꽂이에 있는 것들(책들)에 해당하는 그 어떤 것을 지칭하게 되는 말이죠.
이게 부정대명사 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아무거나 하나를 뜻하는 말이 one입니다.
먼저 it과 one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I lost my pen.
1. Do you have it?
2. Do you have one?
1번은 펜을 잃어버렸는데 그 펜 니가 가지고 있냐고 물어보는 표현이고
2번은 펜을 잃어버렸는데 뭐 쓸 것 하나 가진 거 있냐고 물어보는 표현입니다.
부정대명사의 one이 이해가 가시나요?
정리하자면,
앞에서 언급한 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아무거나 한 개 입니다.
부정대명사는 기본적으로 one이랑 other를 이해하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그 응용입니다.
one이 이해가 가셨다면 이번에는 other를 알아볼께요
other는 앞에서 언급한 거 말고 "다른"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게 different하고는 뜻이 조금 다릅니다.
different는 앞에서 언급한 것고 종류가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other는 종류는 갖지만 그거 말고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앞에서 one이라고 말한 거 말고 "다른"이라는 의미는 그래서 other를 사용합니다.
부정대명사는 이거 두 개만 이해하면
나머지는 응용이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앞에서 one이라고 언급한 거 말고
다른 것은 다른 건데 많은 다른 것들 중에
다른 거 한 개는 뭐라고 할까요?
other one 입니다.
이걸 좀 짧게 쓰려면 an other 라고 하면 됩니다.
합쳐서 하나의 단어 another가 탄생합니다.
그런데 앞에서 one이라고 언급한 거 말고
다른 거라고 해 봐야 하나 밖에 없으면?
other는 other인데 이번에는 불특정한 어떤 것이라는 뜻의
부정관사가 붙는 게 아니라 정관사가 붙어야 합니다.
the other가 됩니다.
이해가 가시나요?
one VS other를 이해하시고
other에 부정관사가 붙느냐 정관사가 붙느냐만 계산하면 됩니다.
그래서 2개일 때는
아무거나 하나가 one이고 다른 거 한 개는 남은 게 하나밖에 없으므로
other에 정관사 the를 붙여서 the other가 됩니다.
3개일 때는 아무거나 하나가 one인 상황에서
그거 말고 다른 거 하나는 남은 두 개 중에서 아무거나 한 개가 되므로
other에 부정관사를 붙힌 another가 됩니다.
그렇게 두 개를 뺀 나머지는 하나 밖에 없으므로
the other가 되지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왜 붙는지 이해하고 계신다면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앞선 글의 설명을 확실히 이해하고 오셔야 합니다.
아무거나 하나는 one, 다른 건 other인데
other는 단독으로는 명사의 뜻이 없어서 a나 the가 붙어야 한다는 겁니다.
만두가 10개 있습니다.
아무거나 하나는? one으로 출발합니다.
일단 한 개 먹었습니다.
그러면 9개가 남죠. 거기가 하나를 더 먹고 싶으면?
앞에서 먹은 one 빼고 다른 걸 먹어야 하니까 other이기는 한데
아직 9중에 아무거나 하나 이므로 another가 됩니다.
그 다음부터는 계속 another가 됩니다. 언제까지요?
딱 한 개가 남을 때 까지요.
그 마지막 한 개는 확실히 그거밖에 없으니까
other는 맞는데 이번에는 the other가 됩니다.
이번에는 만두가 20개 있습니다.
제가 몇 개 먹었습니다. some으로 시작합니다.
그 다음에 몇개를 더 먹었습니다.
이건 뭐라고 해야 할까요?
앞에서 some으로 이미 먹어치운 거 말고 다른 거니까
other를 사용합니다만 이번에는 불특정한 한 개가 아니라
여러개니까 other를 복수형 others라고 하면 됩니다.
그렇게 먹다가 보니
남아 있는 몇 개 마저도 제가 다 먹었습니다.
이번에는 other는 맞는데 불특정한 other가 아니라
남은 거 전부라고 특정할 수 있는 표현이 되므로
the others가 됩니다.
따라서 the others라고 하면 남은 거 전부라는 표현이 되는 겁니다.
사람이 10명이 있습니다.
one / the others라고 하면 한 명 뺀 나머지 전부(9명)이 됩니다.
사람이 10명 있습니다.
some / the others라고 하면 몇 사람 / 그 나머지 전부를 가리키는 표현이 됩니다.
광장에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some, 그리고 또 다른 몇몇 사람들은 others가 됩니다.
나머지 전부라고 특정하지 않는 이상 계속 others입니다.
이런 식으로 표현하는 겁니다.
이해가 가시는 지요?
따라서 부정대명사 또한 문법으로 이해만 하고
여기서 말씀드린 공식만으로 전부 알아 가려고 하면 안 됩니다.
독해를 통해서 지칭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꼼꼼하게 염두하면서 봐야 하는 부분이지요.
다음 시간에는 긍정적 동의와 부정적 동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9. 대명사 – 기타 대명사 정리 (0) | 2017.02.24 |
---|---|
13-8. 대명사 – so + 긍정적 동의, 부정적 동의 (0) | 2017.02.24 |
13-6. 대명사 – some, any (0) | 2017.02.24 |
13-5. 대명사 – it 비인칭주어 (0) | 2017.02.24 |
13-4. 대명사 – it 가주어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