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잘데기 없이 영어 문장 볼 때마다 규칙, 법칙 남발하시는 분들,
반대로 문법 공부하는 거에 쓰잘데기 없이 반발 심리 가지시는 분들은,
이 글을 읽을 경우 공황장애, 심한 경우 정신 착란증을 일으킬 수 있으니 구독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지난 글에서 밝혀 드린 대로,
영문법에서 통사론에 관한 설명을 마치고 품사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미리 말씀드립니다만,
이 부분은 중등부 영문법에서는 소화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고등부 이상의 성인에 해당하시는 분들만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중등부 이하의 영문법에서는 12번 시리즈의 내용은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뭐 얼마나 대단한 걸 설명하길래 이렇게 사설이 길고,
경고를 많이 주느냐 하시겠지만,
언어의 추상화라는 개념 자체가 국어 수업 중에서도 고등학교 수업에 해당하는 내용이라서 그렇습니다.
적어도 영문법에서 물질명서, 고유명사, 추상명사 이런 구분에 대해서는 알고 계시는 분들,
적어도 그런 얘기나 설명을 들어본 분들이라고 가정하고 글을 이어 나갈 생각입니다.
영어에서 명사를 이해하려면
명사하고 항상 붙어다니는 한정사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명사는 그 앞에 한정사(보통 관사가 많이 붙죠)와 더해서 의미를 생각해야 합니다.
---------------
결국 명사라는 품사는 그 단독으로 설명하기도 힘들고
이해하기도 힘든 부분이라서 12번 시리즈는 명사와 한정사(관사)로 합쳐서 이어 나가려고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개념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언어는 추상화가 있고, 구체화가 있습니다.
별로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말이라는 게 추상적이고 좀 더 큰 상위의 개념을 의미할 수도 있어야 하고,
그 반대로 아주 구체적이고 세세한 설명을 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나 재미있게도 우리가 생각하는 단어라는 것은
거의 대부분 매우 고도로 추상화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언어의 추상화 라고 합니다.
이것은 네이버에서 검색한 언어의 추상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언어의 추상화란?
우리가 '꽃'이라고 부르는 사물들은 실제로 무궁화도 있고 진달래, 개나리 등등 많잖아요..
여기서 '꽃'이라는 말의 뜻은 우리들이 여러 종류의 꽃에서 공통 속성을 뽑아 내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또 더 세분화 하면 무궁화 자체도 추상화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무궁화에도 여러 종류가 있고, 각각 모양도 다르고 꽃 색깔도 다르잖아요..
언어의 추상화란 사물들로부터 공통 속성을 뽑아 내어서 일반화 시켜 두루 부르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꽃이라고 부를 만한 속성을 가진 것들은 꽃이라는 이름을 붙여 부르는 것이구요,
신발이라고 하는 사물들도 운동화, 구두, 슬리퍼 등등 세분화 하면 종류도 많고 각각 다르지만 신발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공통 속성을 가지고 운동화, 구두 등등에 신발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거지요..
이해 되셨나요?
한국어는 단어, 중에서도 명사를 쓸 때, 단복수를 그렇게 꼼꼼히 따지지도 않고,
추상화, 구체화는 있지만 영어처럼 구분하지는 않아요.
영어는 단어가 거의 대부분은 "개념"만을 가집니다.
이것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영어는 개념어다 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즉, 영어는 단어 자체는 개념만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위치에 따라서 품사가 결정되기도 하고,
같은 단어이지만 주어 자리에 두어서 명사처럼 쓰기도 하고 동사 자리에 두어서 동사처럼 쓰기도 합니다.
물론 개념만 가지고 있다고 해도,
원래 가지고 있는 뜻이 있기 때문에 그 의미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기도 하구요.
예를 들어, "car(자동차)"라고 하면 우리 생각에는 구체적인 차 한대가 생각나지만,
영어는 car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바퀴 네 개 달리고 엔진 달려 있고, 휘발유 혹은 경유를 먹고(요즘은 하이브리도 있고) 달리는 그런 어떤 물체를 뜻하는 단어의 개념일 뿐입니다.
이번 글은 예전에 QA에서 답변 드렸던 부분을 일부 발췌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괜찮아요 제가 쓴 거 제가 베끼고 있는 거니까 ㅋㅋㅋㅋ)
자, 가정 먼저 전제하고 있는 부분이며,
명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지식입니다.
언어의 추상화
영어에서 단어라는 것은 실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개념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 때문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지는 다음 글에서 이어가겠습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 명사와 한정사(관사) – 명사의 종류 및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0) | 2017.02.23 |
---|---|
12-2. 명사와 한정사(관사) – 한정사의 개념 (0) | 2017.02.23 |
11-7. 가정법 – if의 생략 (0) | 2017.02.23 |
11-6. 가정법 – 혼합 가정법 (0) | 2017.02.23 |
11-5. 가정법 – 가정법 미래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