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ammar

전치사 to에 관한 한 가지(4형식 수여동사) Q : I saved money to buy my son a bike. - 나는 아들에게 사전거를 사주려고 돈을 모았다. Kate's parents tried to teach her to read the alphabet. - 케이트의 부모님은 그녀에게 알파벳 읽는 법을 가르치려고 노력하셨다. 1. I saved money to buy my son a bike. 문장에서 to buy는 to부정사로서 사주기 위해라는 뜻이 되죠. 그 뒤에 오는 것이 나의 아들에게가 오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이때 my son 앞에 ~에게를 뜻하는 전치사 to가 와야 되는 것이 아닌가요? → I saved money to buy to my son a bike. ??? 2. Kate's parents tried to teach h.. 더보기
고1 영어 교과서 4과 (능률교육) 본문 질문 Q : 안녕하세요? 아래 문장은 고1 영어 교과서 지문에 나온 것입니다. Think about ⑴all the things you've done in your life. You may not realize that ⑵what you've spent the most time doing is sleeping. So here's something to tell your friends if they complain that you're wasting the day sleeping in until the afternoon on Sunday. Just say that you're paying off your sleep debt from studying hard all week. Yes, it's perfect ok.. 더보기
would는 꼭 will의 과거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Q : For one year he would produce as little trash as possible 에서 한해동안 그는 그가 가능한한 적은 쓰레기를 만들 것이었다 하고 would를will의 과거로 해석해야 하나요 아니면 약한의지로 한해동안 그는 그가 가능한한 적은 쓰레기를 만들것이다 라고 해석해야 하나요? 그리고 위의문장에서 as와as사이에 원래 little만오는게 아니라 little trash 처럼 명사도 껴있어도 되는건가요? A : For one year he would produce as little trash as possible. (1) 한해동안 그는 그가 가능한한 적은 쓰레기를 만들 것이었다 하고 would를will의 과거로 해석해야 하나요 아니면 약한의지로 한해동안 그는 그가 가능.. 더보기
타동사도 가끔 전치사를 끼워서 표현합니다. Q : 3형식에서 동사 뒤에는 전치사가 오지 못한다면서 가끔씩 동사 뒤에 전치사가 올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설명을 보면 대충 동사의 목적어가 실체가 없으면 그렇다는데.. 이해가 안되서 그러는데 혹시 여러개의 예시를 볼 수 있을까요 ... A: 우리말로 번역이 안 되거나 큰 의미 없이 강조하는 경우에는 3형식 타동사라도 뒤에 전치사를 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법적으로 정의 내려주는 곳은 없고, 그냥 그런 표현이 있다 정도로 알아 두시는 게 맞습니다.) I believe you I believe in you. 한국말로 바꿔 보면 똑같은데, in을 쓰는 것이 더 강한 표현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 I know you. --> 나는 너를 알아 2. I know of you. --> 나는 너를 .. 더보기
예비고2 공부 방법 문의 Q : 예비고2 인데요 방학을 맞아서 공부를 좀 해보려고 영어 독해 문제집을 사고싶은데 뭘 사야할지 모르겠네요ㅠㅠ 저번에 수능특강을 산적이 있어서 지금은 그걸 풀고있는데 솔직히 제대로 잘 공부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질문은 아래에 있는 두가지 인데요 1. 모의고사 영어등급이 3정도 나오는 예비고2가 수능특강은 아직 무리인것 같죠? 다른책을 사야된다고 생각하신다면 독해 문제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현재는 앞에서부터 꼼꼼히 해석하는 걸 목표로 시간 맞춰 문제를 풀기보다는 오래걸려도 처음부터 완벽하게 해석하려고 하고있습니다. 모르는 단어는 바로바로 찾아서 문제 밑에 적어놓고 해석이 안되는 문장은 따로 옮겨적은 후에 나름대로 해석을 해보고 답지랑 비교한다음 어느 부분 해석이 잘못되었는지 보고있는데요.. .. 더보기
토익 독학에 대해서(지식인 답변에 의지하지 마세요) Q : 토익을 공부하고 싶은 여고생입니다. 독학으로 처음하려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고 파트가 나눠져있다고 하는데(Lc등) 그게 무엇인지 어떤게 있는지 자세한 설명이랑 독학 방법 좀 알려주세요 또 교재나 인강도 추천해주세요! Q : 안녕하세요 영어는 평소에 잘 못하지는 않는데 토..익은 처음이라 뭘 어떻게 시작해야할지모르겠습니다 학원이나 인강 혹은 교재 추천부탁드려요 Q : 600점대 토.익 공부법좀 알려주세요ㅠㅠ 교재는 아무거나 쓰고있는데 교재를 어떤거써야하나요? 강의도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려요 Q : 영.어공부좀 제대로 시작해보려고하는데 계속 토.익공부하려고하면 스킬만알려주네요... 실력도 올릴 수 있는 강의 추천 부탁드려요! Q : 토익 한번도 안쳐본 대학생입니다 단순 암기식이 아닌 이해시켜주는 책.. 더보기
접속사 whether(if 포함) whether는 ‘~인지 아닌지’의 의미를 갖는 접속사로 whether뒤에 ‘or not’을 붙여서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whether는 명사절 혹은 부사절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의미가 다르다. if또한 ‘~인지 아닌지’를 의미하는 접속사로 사용될 수 있지만, 명사절로 쓰였을 경우만 가능하다. Ex) She couldn't say whether she will come to the party(or not). (그녀는 파티에 올지 아닌지 말할 수 없었다.) 1)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whether가 동사의 목적절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whether대신에 if를 사용할 수 있다. I want to know whether you will come. (네가 파티에 올지 아닐지를 알고 싶.. 더보기
3-3. be동사 및 상태동사 - 감각 동사 및 추측 표현(2형식 정리) 2형식 혹은 be동사 및 상태동사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습니다. be동사 및 상태동사는 주어가 ~~이다.(~~한 상태이다) 이런 표현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여기서 한 번 더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확실이 주어가 ~~이다 ==> 가 아니라 주어가 ~~인 것 같다 이런 겁니다. 내 느낌에 이런 거 같다 혹은 ~~걸로 느껴진다. ==> 같은 말입니다. You are happy ==> 이건 확실하게 단정을 하는 거지만 You look happy ==> 이건 내가 보기에 그렇게 느껴지는 거죠. 감각 동사도 마찬가지 입니다. This food tastes good => 이 음식이 맛있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느낀 거죠) Your plan sounds good => 너의 계획이 좋은(거 라고 추측하고 있는 거.. 더보기
3-2. be동사 및 상태동사 -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의 등장 모든 영어 문장마다 법칙을 들이대시는 분들, 특히 각각의 단어마다 다 법칙으로만 설명하시는 분들, 그와 반대로 문법은 가라~~~ 라고 외치시는 분들은 이 글을 읽을 경우 꿈에 귀신 나올 수도 있으니 구독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 앞서 말씀드린 대로 be동사 그리고 지금부터 설명드릴 상태 동사는 일반동사와는 다르게 주어가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 발생한 또 하나의 문법입니다. (일반적인 5형식 문법체계에서 2형식이라고 불리는 부분입니다) be 동사는 결국, 주어가 동작은 없.. 더보기
3-1. be동사 및 상태 동사 - be동사의 발생과 해석, 특징 지난 시간 2시리즈에서는 일반 동사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졸라맨을 기억하시나요? (앞으로도 몇 번 더 쓸 거 같은데 만들라믄 제대로나 만들지......) 저런 형태의 문장을 만들 때 사용되는 동사가 일반 동사 입니다. 별 거 없어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동사라는 거죠.(Do 동사라고도 하고요) 이래서 문장을 만드는 규칙이 생겨났습니다. 문장은 주어 1개, 동사 1개로 만들고,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말한다.(물론 단어의 뜻에 따라 뒤에 목적어가 붙을 수도 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만약에 특별히 움직임이 없는 즉, 동작이 없는 문장은 어떻게 써야 할까요? 질문이 어렵다면 말을 바꿔 볼께요. 니가 행복하다면, 난 행복해 ( 이런 거지같은 예문을 쓰게 되다니.......) ===> 이런 말 영어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