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글에서 어느 정도 눈치 채신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어차피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용사의 설명에는 명사에 대해 같이 언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부분도 마찬가지 입니다.
일단 조금은 있다, 혹은 조금밖에 없다 라는 표현을 할 때 a few/ few 혹은 little / a little 이 사용됩니다.
뜻은 같지만(최소 비슷하지만) 뒤에 수식을 받는 명사가 가산 명사인지 불가산 명사인지에 따라 어떤 수식어를 사용하는지가 결정됩니다.
먼저 가산 명사는 a few , few를 사용해서 수식합니다. (적은 개수의 몇 개를 의미하는 겁니다.)
반대로 불가산 명사는 little, a little을 사용해서 수식합니다.(적은 양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다르게 구분해서 본다면 별로 없다는 뉘앙스로 말을 할 때는 few, little을 사용하고 조금 있다는 뉘앙스로 말을 할 때는 a few, a little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실전 독해에서 few나 little이 들어가면 not이 들어가 있는 것처럼 해석하기도 합니다.
I know few things.
난 몇가지 밖에 몰라
I know a few things.
내가 아는 게 몇 개 있어.
위에 두 문장의 뉘앙스 차이를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In this bottle is a little water.
병 속에 물이 좀 있어.
**In this bottle is little water.
병 속에 물이 거의 없어.
마찬가지로 두 단어의 뉘앙스 차이를 기억해 주세요,
(참고: ** 이렇게 표시된 두 문장은 실제로 도치된 문장입니다.)
결론적으로 few와 little의 차이는 뒤에 붙는 명사가 가산 명사냐 불가산 명사냐에 따른 구분이고 a가 붙느냐 안 붙느냐에 따라 소량이지만 긍정적으로 있다고 보느냐 조금 밖에 없다는 부정적인 말투를 갖느냐의 차이 입니다.
They did little 이라고 하면 별로 한 게 없는 겁니다.
반대로 They did a little 이라고 하면 그래도 좀 (무언가를) 한 겁니다.
오늘 설명하는 부분은 문장 속에 있을 때 전체적인 의미 파악을 하는데 꽤 중요합니다.
부가적으로 연관된 몇 가지 표현을 더 설명드리자면
not a few ==> 조금이 아닌 즉, 많다는 표현이 됩니다.(many)
not a little ==> 같은 원리로 많다는 표현이 됩니다.(much)
only a few, only a little은 아주 극소수 혹은 극소량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quite a few, quite a little은 꽤 많다는 표현이 됩니다.
이번에 설명드리는 부분은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만 독해에서 혼란이 없습니다.
막연하게 그냥 조금 이라고 했다가는 전체적인 글의 맥락을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또 한 가지 주의할 점은
few가 붙건 a few가 붙건 뒤에 붙는 명사는 복수의 형태를 지닙니다.
언뜻 생각하기에 소수이니까 하나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물론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소수라고 해도 기본적으로는 한 개 이상의 몇 개 정도의 의미가 되기 때문입니다.
비교급으로 써서 fewer를 써도 마찬가지 입니다.
더 적더라고 하나는 아니라고 보고 복수명사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실제적으로 하나 밖에 없다는 표현은 only 를 붙이겠죠.
참고로 little의 비교급이 less입니다.
따라서 little을 쓰거나 less를 쓰면 말 끝을 "~없다" 혹은 "~~아니다"라는 쪽으로 이해하시는 게 맞습니다.
He showed little fear about that.
이 남자는 두려워 하고 있다는 것을 조금 보여준 것이 아니라 거의 보여 주지 않았다 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형용사의 어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7. 형용사 – 수량 표현 및 기타(합성 형용사) (0) | 2017.02.25 |
---|---|
14-6. 형용사 – 형용사의 어순 (0) | 2017.02.25 |
14-4. 형용사 – 혼돈하기 쉬운 형용사 (0) | 2017.02.25 |
14-3. 형용사 – 형용사(분사)의 명사화 (0) | 2017.02.25 |
14-2. 형용사 –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0) | 2017.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