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에 대한 설명을 드리기 시작하는 글에서 한 번 언급했습니다만,
영어는 그 단어가 쓰인 위치에 따라서 품사가 결정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물론 100% 위치만으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만,
기본적인 위치와 연결되는 앞뒤 단어와의 관계를 통해서 품사를 결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뜻은 형용사이지만,
이게 명사가 들어가는 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면 명사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다시 쓰는 영문법 6번 시리즈에서 분사에 대한 설명을 드렸습니다.
따라서 분사 또한 형용사의 일종으로 보고 같이 설명 드립니다.
앞서 12번 시리즈에서 명사와 관사에 대한 설명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그러그러한 이유 때문에
관사를 쓰면 그 뒤는 무조건 명사입니다.
따라서 the 뒤에 단어를 쓰면 그 단어는 명사이어야만 합니다.
a/an을 쓰고 그 뒤에 이어지는 단어는 명사이어야만 합니다.
중학교때 중요하게 배운 문법 중에 하나가
the + 형용사는 ~~한 사람들이다 라고 했던 거 기억나시나요?
말씀드린 대로 the가 앞에 있는 이유는 그 뒤가 명사라는 신호입니다.
the rich --> 부자인 사람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꼭 the + 형용사가 아니라 the + 분사의 형태도 가능합니다.
the wounded --> 부상자들
the homeless --> 노숙자들(부랑자들)
그렇다고 또 무조건 복수형태로 ~~한 사람들이 아니라 한 명을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the accused --> 피고인
; 한 사림일 수도 있고, 물론 피고인이 여러 사람일 수도 있지요.
하지만 이건 문법으로 정리할 부분은 아니고 독해를 통해서 전체적인 상황으로 이해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꼭 사람이 아니라 물건 혹은 개념 혹은 여타의 thing과 같은 의미가 될 수도 있습니다.
the unknown : 미지의 것,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
the true : 진리. 진실한 것.
------------------------------------
여기까지가 the를 붙이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고,
a/an을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형용사 끝에 s를 붙여서 복수형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white는 명사일까요? 형용사일까요?
--> 둘 다 됩니다.
따라서 a white라고 쓰면 흰 것, 흰 사람(백인)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명사처럼 쓰겠다는 거지요.
common은 평범한 이라는 뜻이지만 commons라고 하면 평민들이 됩니다.
native는 원주민의 라는 뜻이지만 a native / natives라고 하면 원어민, 원주민이라는 명사가 됩니다.
noble은 숭고한 이라는 뜻이지만, a noble이라고 하면 귀족(한 명)이 됩니다.
good은 "좋은"이라는 뜻이지만, goods라고 쓰면 상품이 되고, a good 이라고 단수의 형태로 쓸 때도 있습니다.
(2017년 현재 수능 특강에서 소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단어가 발생한 원천은 형용사이지만
영어 사전에 완전히 명사로 굳어져서 등재되는 경우도 나옵니다.
valuables : 귀중품
chemicals : 화학 물질
==> 이런 경우 처럼요.
----------------------------
제가 명사와 한정사를 설명드릴 때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한편으로
독해 비법이라고 하면서 a / the 와 같은 관사는 그냥 안 보는 것이
빠르게 해석하는 비법이라고 소개되는 방법을 비웃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오늘 설명 드렸다 시피,
관사가 붙었느냐 안 붙었느냐에 따라
형용사가 명사가 되기도 하고 분사가 명사처럼 쓰이기도 합니다.
명사가 문장 속에서 위치할 수 있는 자리와
형용사가 위치하는 자리는 완전히 다릅니다.
따라서 문장 속에서 단어들간의 연결을 볼 때
관사는 중요한 핵심 포인트가 됩니다.
거기에 이어져서 관사 혹은 한정사와 연결되는 단어를 어떤 품사로 보느냐도 중요하지요.
원래 명사와 동사는 혼용됩니다.
형용사와 명사도 혼용됩니다.
이걸 어떻게 구분하느냐?
그걸 독해를 통해서 익히셔야 합니다.
문법에서는 개략적인 가능성의 정도 이상을 설명 드릴 수 없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혼돈하기 쉬운 형용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5. 형용사 – few/ a few VS little / a little (0) | 2017.02.25 |
---|---|
14-4. 형용사 – 혼돈하기 쉬운 형용사 (0) | 2017.02.25 |
14-2. 형용사 –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0) | 2017.02.25 |
14-1. 형용사 – 수식어의 이해. (0) | 2017.02.25 |
13-9. 대명사 – 기타 대명사 정리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