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ammar/다시 쓰는 영문법

14-2. 형용사 –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본격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두 가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영어는 위치가 품사를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100% 위치만 가지고 본다는 것은 불가능하죠.

단어가 가진 기본적인 의미가 있고, 그 의미에 따라서 특정한 품사 이외에

다른 품사로 쓰는 게 불가능한 단어들도 많으니까요.


그러나 어디까지나 위치가 우선이라는 것은 확실히 알고 계셔야 합니다.


두 번째, 영어는 (사실 다른 언어들도 그렇지만) 전치 수식과 후치 수식이 둘 다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형용사라고 해서 무조건 명사 앞에 위치한다는 생각은 버리세요.

이미 분사와 to 부정사에서 설명 드린 내용입니다.

후치 수식에 익숙해져야 하고 후치 수식이 오히려 기본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해 두셔야 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형용사는 전치 수식도 가능하고 후치 수식도 가능합니다.

영어도 아주 옛날에 쓰인 책은

beautiful palace (아름다운 궁전)이 아니라 palace beautiful 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대 영어에서 이런 식으로 쓰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런데 어디까지나 영어의 기본은 설명하는 말을 뒤에 붙이는 것이 기본 구조이기에

아직도 그런 모습이 남아 있습니다.


전치 수식을 하는 형용사를 한정적 용법으로 쓰였다고 하고,

후치 수식 혹은 문장에서 보어를 쓰이는 경우를 서술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용어 자체는 기억하실 필요 없습니다.


어차피 전치 수식과 후치 수식은 둘 다 가능한 것이 기본이지만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단어는 굉장히 중요하게 알고 계셔야 합니다.


present는 전치 수식(한정적 용법)은 "현재의"라는 의미이지만

후치 수식 혹은 보어로 쓰인 경우(이하 서술적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출석한, 참석한"이라는 뜻이 됩니다.


sick은 한정적 용법으로 쓰면 "아픈"이라는 뜻이지만

서술적 용법으로는 "넌더리난, 질린" / "화난, 분한" 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sorry는 한정적 용법으로는 "불쌍한" / "무언가를 못하는, 형편 없는" 이라는 뜻이지만

서술적 용법으로는 "미안한, 죄송한"이라는 의미입니다.


certain은 한정적 용법으로는 "어떤"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보통 서술적 용법으로 쓰이는 "확실한"이라는 의미만 알고 계시면 독해할 떄 힘듭니다.


late도 마찬가지로 한정적 용법에서 "고인이 된, 이전의"라는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서술적 용법의 "늦은, 늦게"라는 의미만 알고 계시면 독해가 어려워집니다.


apt는 실제 독해 문장에서는 보기 힘든 단어이지만,

한정적 용법으로는 "적절한"이라는 의미이자

서술적 용법에서 "~하기 쉬운"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보통 서술적 용법의 뜻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더군요)


앞에서 언급한 6개의 단어는 필수 단어 입니다.


poor가 명사를 후치 수식하면서 poor in ~~ 이라고 하면 

~~이 부족한 정도의 의미가 됩니다.


ex) the country poor in resources ==> 자원이 부족한 국가


그외에 한정적 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가 있고

반대로 서술적 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가 있습니다.


(alike, asleep, ashamed, fond, 등등은 서술적으로만 쓰입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는데 관용적으로 후치 수식만 하는 형용사도 있습니다.


이런 어휘들은 여기서는 전부 정리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이런 어휘들은 많은 독해를 통해서 익히시기 바랍니다.

미리 외운다고 해 봐야 나중에 독해할 때 다시 봐야 합니다.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소개해 드리고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수능 독해 때도 문법 문제에서 안 보이고, 토익 때도 진짜 가뭄에 콩 나듯 나오는 정도이고, 뭐 그렇다 보니, 아무튼 비중이 너무 낮아서 뭐 미리 정리하고 암기하고 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형용사와 명사가 혼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