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ammar/다시 쓰는 영문법

13-1. 대명사 – 인칭 대명사(격을 구분하는 이유)


영어 공부할 때 잘 정리된 도표부터 찾으시는 분들,

영어 문장 볼 때 해석 안 하고 문법 분석부터 하시는 분들, 

직독직해하면 문법을 필요 없다고 굳게 믿으시는 분들은

이 글을 구독할 경우 공황 장애 혹은 정신 착란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대명사는 기본적으로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할 때 씁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대명사는 정확하게는 명사 자리를 대신하면 대명사라고 하는 겁니다.


같은 얘기 아니야?

아니죠.


내가 말이야 어제 꿈을 꿨는데,

--> "나"라는 인칭 대명사로 바로 시작해 버립니다.


I dreamed yesterday.

--> 여기서도 마찬가지이며, 

영어도 마찬가지로 대명사로 바로 문장을 시작할 수 있죠.


한국어도 그렇고 영어도 그렇습니다.


따라서 명사(혹은 그 자리)를 대신해서 쓰는 것이 대명사입니다.

그러면 그냥 명사랑 뭐가 다르냐?


대명사는 명사 자리를 대신해서 사용한다는 기능때문에,

앞에 나오 명사를 대신해서 쓸 수도 있는 겁니다.

--> 그래서 차이가 나는 거지요.


일반적인 문법책에서는 대명사를 설명할 때 인칭 대명사 부터 먼저 설명합니다.

가끔 I, my, me, mine 이하의 대명사들을 그냥 명사라고 착각하시는 분들도 있구요.


그러면 "나"라는 뜻을 나타내는 대명사 한 개만 있으면 되지,

뭐 하러 주격과 목적격을 구분하느냐?


다음 사진의 문장을 봐 주시기 바랍니다.




주어진 사진에서 첫 번째 문장과 두 번째 문장의 의미 차이를 아시겠어요?


첫번째 문장은 한 여자를 두고 나랑 그가 경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는 나보다(내가 그녀를 사랑하는 것보다) 그녀를 더 사랑하는 거죠.


물론 문법적으로 다 살려주면

He loves her more that I do. 정도 되겠지요.


두 번째 문장은

그 남자라 나랑 그 여자랑 둘 다 좋아하고 있는데,

그 남자는 (나를 사랑하는 것보다) 그녀를 더 사랑한다는 의미입니다.


문법적으로 다 살려주면

He loves her more than me. 정도 됩니다.


인칭 대명사는 이런 부분 때문에 격을 구분합니다.


인칭 대명사이기는 한데,

이게 동작은 주체를 대신하는 말이냐(주어처럼 쓰였느냐)

대상을 대신하는 말이냐(목적어처럼 쓰였느냐)

나중에는 소유격으로 쓰였느냐에 따라서

같은 의미이지만 격을 구분하게 되는 거지요.


아주 오래전에 했던 이야기를 생각해 봅시다.

영어는 위치가, 단어를 나열하는 순서가 많은 것을 보여 준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냥 그 위치에 두면 될 거 같은데,

그래도 지금처럼 의미가 이중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을 겪게 되니까

기본적으로 주격과 목적격을 구분하게 되는 겁니다.


완전 초보로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이게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13번 시리즈의 첫 번 째는 가볍게 시작합니다.


저 도표를 외우시면 됩니다.


참 가벼운 발걸음으로 시작하는 거죠 ㅋㅋㅋㅋㅋ




간단히 정리합니다.

대명사는 명사 자리를 대신하기도 하고,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용도에 따라서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한다.


(거꾸로 별로 헷갈릴 일이 없으면 형태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도표에서 똑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는 단어들은 문장 속에서 형태로 구분해야 합니다.)


혹시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토익에서 her 가지고 소유격인지 소유 대명사인지 구분하는 문제 나오니까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거의 기본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그러면 저 도표에 나와 있는 재귀 대명사는 뭔데?


무엇 때문에 저런 구분까지 나오게 되었느냐?


다음 글에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