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영어가 문장을 만드는 원리(3)-후치 수식을 기본으로 두는 언어 영어가 문장을 만드는 대 원칙 주인공(기준선)을 그어 놓고 거기서 가까운 순서대로 쓴다. 이거 때문에 주어 + 동사의 어순을 갖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원칙으로 인해 파생되는 또 다른 부분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영어는 후치 수식이 기본이다. 영어는 기준선을 던지고 그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설명하는 말을 풀어 나가는 것이 기본입니다. 그렇게 되면 앞에서 수식하는 전치 수식이 아니라 뒤에서 수식하는 후치 수식을 기본으로 둡니다. 보통 영어의 어순은 관사 + 부사 + 형용사 + 명사 => 이거만 알고 계시는 분들은 이게 뭔 헛소리인가 하실 겁니다. 아주 예쁜 여자 => a very pretty girl 이렇게 쓰는 데 무슨 후치 수식이 기본이냐 이 사람아............................. 더보기 1-2. 영어가 문장을 만드는 원리(2) - 어순이 지배하는 언어 영어가 문장을 만드는 대 원칙 주인공(기준선)을 그어 놓고 거기서 가까운 순서대로 쓴다. 이거 때문에 주어 + 동사의 어순을 갖게 된다. 이제부터는 그로 인해서 파생되는 몇 가지 영어의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 보겠습니다. 제가 단어 세 개를 드릴께요, 문장을 만들어 주세요. 그 남자, 책, 사랑 보통 "그 남자는 책을 사랑한다" 라는 문장이 만들어 지겠네요. 저 단어들 그대로 영어로 바꿔 볼께요. He, book, love ==> 이렇게 되겠죠. 문장으로 만들면 "He love book" 이 됩니다. (love는 loves가 되어야 하고, book은 a book이 되어야 하는 거 저도 압니다. 그런 건 나중에 다듬어도 되는 거니까 여기서는 어순만 집중해서 보겠습니다.) 지금부터가 중요합니다. 저는 "그 남.. 더보기 1-1. 영어가 문장을 만드는 원리 본격적으로 문장을 만드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앞의 설명(0번 시리즈)을 다 이해하셨다면 영어는 그림을 그리는 순서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하자면 그림보다는 만화를 이해한다고 생각해 주세요. 언급한 대로 아주 단순한 구조, 거의 기호에 가까운 수준으로 그리게 될 겁니다. 자, 이제부터는 한국말도 필요없고 영어도 생각하지 말고 그냥 그려진 저것을 무슨 의미로 이해할까에 대해서만 생각해 주세요. 나는 학교에 갔다 ==> 라는 말을 어떻게 그려야 할까요? 일단 단어가 필요하겠네요. 1) 이걸 편의상 "나"를 뜻하는 단어라고 해 보죠 (ㅋㅋㅋ) 2) 이걸 편의상 "가는 동작"을 의미하는 단어라고 해 보죠 3) 마지막으로 이걸 "학교"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더보기 이전 1 ··· 62 63 64 65 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