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사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계속 반복하는 게,
기본적인 정의가 자리잡혀 있지 않으면,
그 응용에 대한 설명은 들으나 마나 하기 때문입니다.
(가능한 접속사에 대한 설명과, 현재 글 이전의 관계사에 대한 설명을 모두 이해하고 넘어오시기 바랍니다.)
어떤 명사를 설명하는 말을 후치 수식으로 쓰고 싶습니다.
먼저 명사 뒤에다가 수식하는 말이 붙는다는 표시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설명하는 말이 절의 형태를 갖느냐 아니냐에 따라,
전치사를 쓸지 접속사를 쓸지 결정 되어야 합니다.
절의 형태라면 that을 붙여 버립니다.
(물론 이어지는 의미에 따라, who, which, whose를 결정해야 합니다.)
그렇게 이어서 쓰다 보니,
that이 접속사 1개, 대명사 1개의 역할을 같이 하게 됩니다.
그게 관계대명사입니다.
(who, which, that의 구분은 그 내용에 맞춰서)
여기까지가 기본인데,
사람이 하는 말이라는 게 꼭 어떤 명사를 말하는 게 아니라
그냥 그거, 그런 거, 뭐 그거, 그 어떤 거
뭐 이런 식으로 말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말도 똑같애요.
왜 그거 있자나, 지난 번에 말했던 거,
저기 그거 가져와, 그 빨간 거 그거,
나 아무래도 니가 말했던 그거 다시 생각해 봤는데 말야
이런 식이죠.
형용사절 접속사, 혹은 관계 대명사가
기본적으로는 앞의 명사를 수식해 주는 말인데,
그 명사가 별 뜻 없이 없이 "그냥 그거"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때는 그냥 명사 + 관계사의 형태로 쓰지 말고
걍 한 단어를 써 버립니다.
그게 what입니다.
처음부터 문법 설명을 따라 오신 분이라면
대명사 it은 이미 가져다 쓰고 있고, that도 가져다 쓰고 있으니
what이 제일 만만한 겁니다.
뜻도 비슷하구요.
what이 의문사라는 생각을 버리시고,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세요.
뭐 혹은 그거, 무언가, 이런 뜻이 있죠. 그래서 가져다 쓰는 겁니다.
I want to know the thing that you want.
=> 난 그게 좀 알고 싶어 / 그건 니가 원하는 것.
=> 난 니가 원하는 걸 알고 싶어.
저런 상황에서 굳이 특별한 뜻이 없는 thing을 살려주는 표현을 쓸 필요는 없죠.
뒤에서 수식, 설명하는 말로 표현해 주면 됩니다.
그래서 과감히 명사+관계사의 형태를 한 번 더 축약해서
what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뭉쳐 버립니다.
I want to know what you want.
이렇게 되면 재미 있는 게 더 이상 형용사절 접속사가 아니라 명사절이 되어 버립니다.
Know 뒤에 목적어 한 개와 역할이 같아지는 거죠.
Tell me what happened.
무엇이 일어났는지 나에게 말해줘.
일어난 일(일어난 것)을 말해줘.
what을 무엇으로 보던지, 아무 뜻 없이 뒤에 happened의 수식만 받는 그런 거 라고 해석하던지 의미 차이 없죠.
의문사라고만 생각하지 말아 달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사실, 의미에 따라 what은 주어처럼 쓸 수도 있고, 목적어 처럼 쓸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what은 관계사에서 발생한 단어이지만,
최종적인 역할은 형용사절 접속사가 아니라 명사절 한 개가 됩니다.
이런 설명은 사실 문법으로 구분 지어 보려고 하니까 중요한 거지,
읽고 이해하는 독해를 위한 문법에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what의 의미를 읽을 줄 아시면 끝납니다.
전 이런 구분에 대한 문법적인 설명은 잘 안 합니다.
그냥 문장의 내용보면 나오는 것을 문법 단계에서 정리할 이유가 없다고 보거든요.
보통 what하고 that하고 많이 헷갈려하고,
중학교 때 시험에서 단골로 나오기도 하죠
(가끔 생각 없는 고등학교에서도 나옵니다.)
(토익에서도 기본서에서 나옵니다.)
뒤가 완전하냐 불완전하냐 그걸 기준으로 문제 푸는 거에 대한 설명은 안 합니다.
사실, 그 설명이 잘못된 것은 아닌데
여러분들이 그렇게 문장 구조를 파악을 할 수가 없어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입니다.
먼저 한국어로 해석해 놓고 문장이 완전하냐 불완전하냐를 따지면 안 됩니다. 어디까지나 영어 문장을 놓고 봐야 하는데 그렇게 안 하는 사람들이 태반입니다.
두 번째로 자동사와 타동사의 개념이 확실히 자리 잡고 있어야 문장의 완전성과 불완전성을 따질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어느 정도 암기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어차피 똑같이 헷갈릴 것을 왜 저런 설명은 굳이 기억하려고 하는지 아세요?
저렇게 문제 풀면 왠지 편하게 풀 것 같거든요.
뒤 부분이 완전하다...............
이건 문장 구조, 문장 성분, 품사 다 볼 수 있는 사람이 하는 거에요.
뒤 부분이 완전한지 불완전한지에 대한 구분을 한국어 해석으로 하려고 들면
100% 틀리는 경우 나옵니다.
문법적으로 구조만 보던지, 아니면 의미로 가던지 둘 중에 하나로 봐야죠.
다음 시간에는 관계 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rammar > 다시 쓰는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7. 관계사 –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0) | 2017.02.26 |
---|---|
18-6. 관계사 – 관계부사 + 선행사를 생략하는 관계부사 (2) | 2017.02.26 |
18-4. 관계사 – 소유격 관계대명사 (0) | 2017.02.26 |
18-3. 관계사 – 관계대명사의 분화(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1) | 2017.02.26 |
18-2. 관계사 – 이번 만큼은 이 설명이 진짜다(관계사,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0) | 201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