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ammar/다시 쓰는 영문법

17-3. 접속사 – 접속사의 구분



앞선 글에서 설명드린 대로 접속사라는 것은

문장과 문장, 절과 절을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단어끼리도 나열해서 연결하는  

모든 기능어들의 총칭이기 때문에 양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보여 드린 사진을 토대로 접속사는 일단 어느 정도 그 역할에 따라 구분해서 볼 줄 알아야 합니다.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하는 것은 같은 연결어구이지만

접속사와 전치사의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건 17-1과 17-2에서 설명했습니다.)


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이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서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구분합니다.

그림에서 나와 있는 상관 접속사는 실제로 등위 접속사의 일종입니다


단지, 토익 시험에서 자주 나오기 때문에

일부 문법책에서 상관 접속사를 따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서

저 또한 그림에서 따로 하나 만들었을 뿐입니다.


그러면 등위랑 종속이 무슨 의미 차이냐?


말 속에서 느끼셨겠지만,

등위 접속사는 문장들이 내용상 대등하게,

큰 선후관계 없이 나열할 때 사용됩니다.


반대로 종속 접속사는 어떤 한 문장이 다른 한 문장의 수식, 부연 설명 등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한 문장이 다른 한 문장에 종족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확실히 해 두셔야 하는 것은 "한 문장이 다른 한 문장에 종속된다" 라는 부분입니다.

이건 절대 내용적으로 연결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형태가 그렇게 된다는 겁니다.

아직은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 가실 수도 있지만, 

힘드시면 일단은 형태가 다른 한 문장에 종속된다(그 안으로 들어가 버린다) 정도로 

그냥 생각하시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단, 저 말 까지도 염두하지 않고 넘어가시면 나중에 힘들 수도 있습니다. 


제가 17-1과 17-2에서는 부연 설명을 위해서 접속사를 사용한다고 설명했으나

말씀드린 대로 특별한 부연 설명이 아니라 단순한 나열이나

이거 아니면 저거 등과 같이 선택을 말할 때도 접속사는 쓰입니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모든 것이 접속사라고 말씀 드린 것처럼....)


예문을 들어 보겠습니다.


I am a boy and you are a girl.

==> 내용상 대등하게 연결됩니다. 굳이 선후 관계나 논리적인 연결은 없습니다.

문장의 형태 자체도 주절과 종속절이라는 구분은 없습니다.


and는 접속사 중에서도 등위 접속사입니다.


I was a college student when you are a high school student.

==> 내가 대학생이었어. 그게 언제냐면 니가 고등학생이었을 때야.

when 뒤로는 앞의 문장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입니다.

이건 종속 접속사입니다.


미리 말씀드리자면 저기서when은 시간 부사절이라고 합니다.

when 뒤의 문장 하나가 앞선 문장의 부사 한 개 정도의 역할이 되는 거죠.

이것 때문에 내용적인 연결이 아니라 형태 자체가 더 큰 문장 속으로 들어간다고 설명드린 겁니다.


종속 접속사는 그 안에서 다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나뉩니다만

이 구분은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접속사는 대등하게 연결하면 등위(상관 접속사도 포함됨)

한 쪽이 다른 한쪽의 부연 설명으로 등장하면 종속 접속사,

(내용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형태 자체가 하나의 문장이 더 큰 문장 속으로 들어가는 경우)


그리고 종속 접속사는 그 역할에 따라 그 안에서 다시 세 가지로 구분된다.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등위 접속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