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ammar

15-5. 부사 – 명사 같은 부사 문법으로 영어 공부를 전부 다 끝내시려는 분들, 영어 문장에서 나오는 모든 경우의 수를 잘 정리된 도표나 공식으로 전부 볼 수 있다고 믿으시는 분들은이 글 읽는다고 절대 도움 안 될 테니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이건 진짜 솔직히..... 비싼 건데......실제 수업에서도 필요하지 않으면 공개 안 하는 건데......이번에 공개합니다. 실전 독해에서 시간, 장소(방향), 방법, 빈도, 정도 표현은 부사 처리 한다는 원칙이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먼저, 전제하는 것은 영어에서 단어는 개념만을 가지고 있고, 그게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품사가 결정된다는 겁니다. 원래 품사의 기본적인 정의를 찾아 보면단어가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더보기
15-4. 부사 – ly를 붙이면 뜻이 달라지는 경우 앞선 글에서 계속 이어 갑니다. 기본적으로 수식어는 형용사 부사 두 가지로 갈라지는데, 굳이 두가지 품사에 따라 형태를 바꾸지 않는 경우를 알아보았습니다. late, high, hard, near는 형용사와 부사의 형태가 같지만, 거기다가 ly를 또 한 번 붙힐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뜻이 달라집니다. 가장 중요한 4개 어휘부터 소개해 드릴께요. lately (최근에) highly(꽤, 매우) nearly (거의) = almost와 비슷한 의미가 됩니다. hardly(거의 ~하지 않다.) = 부정 부사가 됩니다. 먼저 제시해 드린 4개 어휘는 수능에서도 토익에서도 부사 부분을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합니다. 제가 쓴 글 보면서 눈치채신 분도 있겠지만, 제가 거의 수능이랑 토익을 주로 강의하거든요 ㅎㅎㅎㅎ.. 더보기
15-3. 부사 – 형용사와 부사가 같은 경우 형용사와 부사는 특별히 많은 설명이 필요하기 보다는중요 어휘, 주의해야 하는 어휘에 대해 소개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 입니다.형용사와 부사의 형태가 완전히 같은 단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몇 가지 다른 주의 사항이 필요한 경우도 포함했습니다.) 앞선 15-2에서 소개한 어휘들과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다 외우고 넘어가겠다는 마음으로 정리된 단어들을 보면 힘들어서 못 합니다.지금은 어디에 잘 정리해 두셨다가 많은 독해를 해 보면서 의미가 맞지 않거나 이상한 경우, 어휘의 의미 파악에 문제가 있는 듯하다라는 생각이 들 때, 그럴 때 한번씩 참고하는 용도를 추천합니다. 물론 특정 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입장이라서 일단 외우고 넘어가야 한다면 어쩔 수 없구요........ 자, 그럼 한 번 살펴.. 더보기
15-2. 부사 – ly로 끝나는 형용사(명사 + ly) 부사를 설명하는 글에서 왜 형용사를 설명하느냐...... 단어를 볼 때 헷갈리지 말자는 뜻에서 초반에 정리해 드립니다. 궁극적으로 품사를 헷갈리지 말고 구분해서 볼 줄 알아야 되는 부분입니다. 물론 영어는 품사에서 자유롭고 단어를 위치시키는 그 자리에 따라 품사가 결정된다 라고 문장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여러번 설명 했지만 수식어라는 하나의 기능어가 형용사와 부사로 나누어지다 보니 이 부분은 혼돈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는 혼돈하지 않을 수 있도록 암기해야 하는 단어들이 생겨나게 되는 거구요. 앞서 설명드린 대로 명사에다가 ly를 붙이면 형용사가 되는 경우는 많습니다. 덧붙이자면문장의 의미, 단어의 의미를 생각 안 하고 형태만으로 품사를 결정짓는 것은 위험합니다.그러니까 문장의 해석.. 더보기
15-1. 부사 – 부사의 발생 및 기능 영어 문장 볼 때마다 해석도 안 하고 문법 분석만 하시는 분들,반대로 문법은 필요 없다고 확신하시는 분들,마지막으로 비법, 스킬, 전략만 찾아 헤매시는 분들은이 글을 읽을 경우 공황장애 혹은 정신착란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구독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체적인 설명보다는 개략적인 그림을 그려 본다는 느낌으로 편하게 구독해 주세요. 수식어는 크게 형용사와 부사가 있는데,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고 부사는 나머지를 전부 수식합니다.(수식어 자체에 대한 설명은 형용사 부분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면서 전해 드렸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형용사 수식, 동사 수식, 다른 부사 수식, 문장 전체 수식입니다. 미리.. 더보기
14-7. 형용사 – 수량 표현 및 기타(합성 형용사) 사실 수량 표현도 문법에서 미리 정리하기 보다는 많은 독해를 통해서 일단 익숙하게 숫자 표현을 읽는 것을 우선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만, 문법 정리를 위해서 간단한 몇 가지만 언급하고자 합니다. 1. the + 서수 + 명사 = 명사 + 기수제가 여러 가지 문법 사항을 설명드리면서 말씀드리지만, 저렇게 공식 처럼 써 놓으면 잘 정리된 건 맞지만, 저걸로 알 수 있는 건 없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몇 가지 실제 표현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설명드린 사항을 이해하는 것은 실제 표현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the third chapter = chapter three (3장)the first gate = gate one (제 1문)the second volume = volume two(제 2권) 이런 식으로 표현하.. 더보기
14-6. 형용사 – 형용사의 어순 여러 번 강조 드렸다시피 영어에서 어순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영어는 전치 수식과 후치 수식이 모두 사용되지만 이번 글에서는 특별히 전치 수식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후치 수식은 앞에서 나온 단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작은 부분부터 그것을 포함하는 큰 순서로 설명합니다.(보통 부사끼리의 어순과도 비슷합니다.) 그러나 전치 수식은 완전히 정반대입니다.우리말의 어순과 같습니다.가장 큰 것, 혹은 눈의 띄는 것부터 작게 자세한 것을 설명하는 순서로 나열해 줍니다. 전치 수식의 기본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치 한정사 + 한정사 + 수량 형용사(서수->기수) + 성질 형용사 한정사 중에서도 all, both, quite, half, double 등은 전치 한정사라고 해서 일반적인 한정사 보다 앞에 위치합.. 더보기
14-5. 형용사 – few/ a few VS little / a little 앞선 글에서 어느 정도 눈치 채신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어차피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용사의 설명에는 명사에 대해 같이 언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부분도 마찬가지 입니다. 일단 조금은 있다, 혹은 조금밖에 없다 라는 표현을 할 때 a few/ few 혹은 little / a little 이 사용됩니다. 뜻은 같지만(최소 비슷하지만) 뒤에 수식을 받는 명사가 가산 명사인지 불가산 명사인지에 따라 어떤 수식어를 사용하는지가 결정됩니다. 먼저 가산 명사는 a few , few를 사용해서 수식합니다. (적은 개수의 몇 개를 의미하는 겁니다.)반대로 불가산 명사는 little, a little을 사용해서 수식합니다.(적은 양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다르게 구분해서.. 더보기
14-4. 형용사 – 혼돈하기 쉬운 형용사 이번 글은 사실 설명보다는 암기 위주의 사항을 정리합니다. 형용사를 만드는 방법은 실제로 세 가지 입니다. 1. 원래 태어나기를 형용사로 태어난 친구들2. 명사에다가 형용사형 어미를 붙힌 친구들3. 동사에다가 형용사형 어미를 붙힌 친구들 1번 사항에 해당하는 친구들은 어려울 게 없는데2번과 3번에 해당하는 친구들은 단어의 원형은 같은데뒤에 뭐가 붙느냐에 따라 의미가 확 달라지는 경우들이 많아요. 이런 부분 만큼은 확실히 숙지하고 있어야 독해를 할 때 어려움이 덜합니다. 제가 열거해 드리는 단어들 이외에도 혹시나 좀 헷갈리겠다 싶은 단어들은 꼭 항목을 만들어서 차곡차곡 정리해 두셔야 합니다. 같은 어원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스펠링이나 비슷한 모양으로 인해 혼돈이 생기는 경우도 함께 정리합니다. 1 benef.. 더보기
14-3. 형용사 – 형용사(분사)의 명사화 형용사에 대한 설명을 드리기 시작하는 글에서 한 번 언급했습니다만,영어는 그 단어가 쓰인 위치에 따라서 품사가 결정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물론 100% 위치만으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만, 기본적인 위치와 연결되는 앞뒤 단어와의 관계를 통해서 품사를 결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뜻은 형용사이지만, 이게 명사가 들어가는 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면 명사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다시 쓰는 영문법 6번 시리즈에서 분사에 대한 설명을 드렸습니다.따라서 분사 또한 형용사의 일종으로 보고 같이 설명 드립니다. 앞서 12번 시리즈에서 명사와 관사에 대한 설명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그러그러한 이유 때문에 관사를 쓰면 그 뒤는 무조건 명사입니다. 따라서 th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