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동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3-3. be동사 및 상태동사 - 감각 동사 및 추측 표현(2형식 정리) 2형식 혹은 be동사 및 상태동사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습니다. be동사 및 상태동사는 주어가 ~~이다.(~~한 상태이다) 이런 표현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여기서 한 번 더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확실이 주어가 ~~이다 ==> 가 아니라 주어가 ~~인 것 같다 이런 겁니다. 내 느낌에 이런 거 같다 혹은 ~~걸로 느껴진다. ==> 같은 말입니다. You are happy ==> 이건 확실하게 단정을 하는 거지만 You look happy ==> 이건 내가 보기에 그렇게 느껴지는 거죠. 감각 동사도 마찬가지 입니다. This food tastes good => 이 음식이 맛있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느낀 거죠) Your plan sounds good => 너의 계획이 좋은(거 라고 추측하고 있는 거.. 더보기 3-1. be동사 및 상태 동사 - be동사의 발생과 해석, 특징 지난 시간 2시리즈에서는 일반 동사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졸라맨을 기억하시나요? (앞으로도 몇 번 더 쓸 거 같은데 만들라믄 제대로나 만들지......) 저런 형태의 문장을 만들 때 사용되는 동사가 일반 동사 입니다. 별 거 없어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동사라는 거죠.(Do 동사라고도 하고요) 이래서 문장을 만드는 규칙이 생겨났습니다. 문장은 주어 1개, 동사 1개로 만들고,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말한다.(물론 단어의 뜻에 따라 뒤에 목적어가 붙을 수도 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만약에 특별히 움직임이 없는 즉, 동작이 없는 문장은 어떻게 써야 할까요? 질문이 어렵다면 말을 바꿔 볼께요. 니가 행복하다면, 난 행복해 ( 이런 거지같은 예문을 쓰게 되다니.......) ===> 이런 말 영어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