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공부

글로벌 경제위기의 의미론

Royntal 2017. 3. 31. 00:17

The Semantics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Well, first it was called a downturn, then a slowdown, followed by recession.

When does a recession become a depression?

CNN's Christine Romans looks at the semantics of the financial crisis.

President Obama knew he was taking office in the grips of a nasty recession.

But is it something worse?

There it is in black and white,

"U.S. depression looking likely," from Albert Edwards, a London-based analyst for French bank, "Societe Generale."

He wrote last week, quote,

"Economic data has been truly dreadful, consistent with something far worse than a deep recession."

Scary stuff and pretty much the worst-case scenario.

Labor economist Peter Morici also recently declared, quote, "The U.S. is already in the jaws of a depression."

We're in a depression because of structural issues in the economy.

Our excessive dependence on imported oil and our huge trade deficit are pulling us down.

The stimulus package will give us some temporary relief, but then the economy will sink back.

The very word "depression" conjures up the most unpleasant memories of the last century ㅡ

25% unemployment and an economy that shrank 30%.

Depressions are so rare, there isn't really an official definition.

Is this a depression?

No, it is not.

Anirvan Banerji studies economic cycles.

First, there was a downturn.

Then, a slowdown.

Now, an official recession.

But a depression, he says, it is not.

If the economy looks bad now,

for it to be in depression means it will look much worse, several times as bad.

Many wonder how can we be in a depression

when the majority of Americans have not lost their job or home,

and everyday life looks on the surface, at least, pretty much the same.

But, that fear of depression runs deep.

Fear shared by the last treasury secretary and the Fed chairman last fall.

I was concerned that the credit freeze would cause us to be headed toward a depression greater than the Great Depression.

That's what I was told. If we didn't move.

Outgoing President Bush says his actions prevented it.

President Obama plans to spend hundreds of billions more to make sure it doesn't happen on his watch.

This is all semantics, really.

We didn't even start using the word "recession" until after the Great Depression.

So call it a severe recession, a depression.

It doesn't change what people are feeling.

Christine Romans, CNN, New York.

 

글로벌 경제위기의 의미론


처음에는 경기 하강이라고 말했지만, 그 후 경기 후퇴가 되었고 뒤를 이어 경기침체가 찾아왔습니다.

그렇다면 경기침체가 불황으로 접어드는 때는 언제일까요?

CNN의 크리스틴 로만스 특파원이 금융 위기를 의미론적 관점에서 살펴 봅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극심한 경기침체 속에 취임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이 경기침체 보다 더 심각한 것은 아닐까요?

여기 분명하게 쓰여진 문구를 보시지요.

프랑스계 은행 '소시에테제네랄' 런던 지부의 투자 전략가 알버드 에드워즈 씨는 '미 경제 불황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그가 지난 주 기고한 글을 인용하자면,

"경제 데이터들을 보면 지독히 안 좋은 상태입니다. 이는 극심한 경기침체보다 더 악화된 상황에 부합하는 수치입니다."

무시무시한 이야기며 거의 최악의 상황이라 할 수 있겠는데요.

노동 경제학자 피터 모리시 교수도 최근 "미국은 이미 불황의 수렁에 빠졌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우리는 현재 미 경제의 구조적 문제들로 인해 불황에 처해 있습니다.

과도한 원유 수입 의존도와 대규모 무역 적자가 우리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경기부양책이 잠시나마 숨을 돌리게 해주겠지만 경제는 다시금 가라앉게 될 것입니다.

'불황'이라는 말은 지난 세기 가장 참담했던 대공황을 떠오르게 합니다.

당시 실업률은 25%에 달하고, 경제는 30% 마이너스 성장을 했습니다.

불황은 아주 드문 경우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정의조차 없습니다.

현재 상황이 불황일까요?

아니요, 불황은 아닙니다.

아너반 배너지 씨는 경기변동을 연구합니다.

처음에 경기 하강이 있었고

다음으로 경기 후퇴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공식적으로 경기 침체기입니다.

그러나 불황은 아니라고 그는 말합니다.

현재 경기가 안 좋아 보이긴 하지만,

불황이 되려면 현재보다 훨씬 악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몇 배는 더 나빠야 합니다.

어떻게 불황일 수 있는지 의아해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미국인 대다수가 아직 일자리나 집을 잃지 않았고,

적어도 외견상으로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생활을 하고 있는데 말이죠.

그러나 불황의 공포는 그 골이 깊습니다.

지난 가을, 전(前) 재무부 장관이나 연준의장도 공감한 부분입니다.

신용경색이 과거 대공황 때보다 더 심각한 불황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하여 우려가 됐습니다.

제가 듣기로 우리가 뭔가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말이죠.

퇴임하는 부시 대통령은 그의 조치가 불황을 막았다고 말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의 재임기간 동안 불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천억 달러를 추가로 지출할 계획입니다.

이 모든 것이 결국 용어가 의미하는 바와 관련된 것인데요.

'경기침체'라는 말은 대공황 후에야 처음으로 사용된 단어입니다.

현재의 상황을 극심한 경기침체로 부르든 불황으로 부르든,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달라지지 않습니다.

뉴욕에서 CNN, 크리스틴 로만스였습니다.